우리가 AWS 인스턴스를 사용하다보면 무언갈 다운 받아야할 떄가 있는데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scp -i [키 파일 ] "[키 파일 경로]" ec2-user@[퍼블릭IP]:\home\ec2-user를 입력해주면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이제 키를 다운 받고 도커 이미지를 만들건데
"sudo yum install -y docker"를 해주면 됩니다.
다운을 받고 나서 " sudo service docker start"를 해주면 도커가 실행이되고
"vi dockerfile"로 도커 파일을 만들어 준 후
"FROM ubuntu:18.04
RUN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y python3 python3-pip
COPY app.py /
RUN pip3 install flask
CMD ["python3", "app.py"] EXPOSE 80" 이 내용을 안에 입력해줍니다.
"docker build -t [이미지 이름] ." 를 입력해주는데 이미지이름 뒤에 점을 붙여주지않으면 실행이 안되기 때문에
꼭 입력을 해주어야합니다 그리고 점과 이름 사이에 뛰어쓰기가 있어야합니다.
생성이 된 후 "docker images"를 입력해 이미지가 만들어졌는지 확인해줍시다.
이제 ECR로 넘어가서 리포지토리 생성을 해줍시다. 이름과 설정은 본인 필요에 따라 설정해주고 생성을 해줍니다
이후 인스턴스 창으로 다시와서
"aws configure"를 입력하면
엑세스 키를 달라고 하는데 엑세스 키는 보안 자격 증명에 들어가면 있습니다.
그리고 리전은 확인 후 입력하시면 됩니다 버지니아 북부 같은 경우는 us-east-1를 사용합니다.
위에 것들을 모두 했다면 이제 " docker tag [이미지 이름] [ECR repository URI]:[태그 이름]"
태그 이름은 본인이 원하는거 입력하시면 됩니다.
"aws ecr get-login-password --region [Region] | docker login --username AWS --password-stdin [ECR Repository URI]"
를 입력하면 로그인하게 되는거구요 이걸 한 후에는
"docker push [ECR Repository URI]:[태그 이름]"을 해주면 푸쉬가 됩니다. 모두 하셨다면 리포지토리에 이미지가 올라갔는지 확인해 줍니다.